티스토리 뷰
*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아미노산의 구조
- 아미노산의 특징 1
- 아미노산의 특징 2
아미노산 (Amino Acid)의 구조
아미노산은 α-아미노 카르복실산(α-amino carboxylic acid)의 약자로 알파 탄소라 불리는 중심 탄소에 염기성 아미노기(-NH2), 산성 카르복실기(-COOH) 및 R기(또는 측쇄)
아미노산 (amino Acid)은
α-아미노 카르복실산(α-amino carboxylic acid)의 약자
이다.
길이가 기니까 줄여 말하는 것이다.
아미노산은 알파 탄소가 중심에 있고,
한 쪽에는 수소,
한 쪽에는 염기를 띠는 아미노기(Amino-)와
한 쪽에는 산성을 띠는 카르복시기(Carboxy-)와
마지막으로 R기(Side Chain)로 이루어져있다.
R의 위치에 결합하는 것에 따라 20종류의 아미노산이 된다.
아미노기는 왜 염기를 띠는 것일까?
2020/02/28 - [Knowledge/Chemistry] - Chemisty / 아미노기 / Amino-
카르복시기는 왜 산성을 띠는 것일까?
2020/02/28 - [Knowledge/Chemistry] - Chemisty / 카르복시기 / Carboxy-
R기?
2020/02/28 - [Knowledge/Chemistry] - Chemistry / R기 란 무엇일까? / 곁사슬 / 측쇄
아미노산처럼
산성인 카르복시기와 염기성인 아미노기를 동시에 갖고 있는 물질을,
양족성 물질
혹은
양성화합물
이라고 한다.
이후에는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아미노산이 가지는 특징을 보자.
아미노산의 특징 1
중성의 수용액에서는 균형을 이룬다.
하지만,
pH의 변화가 생기면
양전하의 차이로 인한 전자의 불균형으로
극성인 상태가 된다.
한 분자 내에서
음전하를 띠는 부분과
양전하를 띠는 부분이
공존하는 이 상태를,
쯔비터 이온(Zwitterion)이라고 한다.
pH가 낮아 산성인 상태(H+가 상대적으로 많음)면, 아미노기는 염기로 작용하여 H+를 얻어 -NH3(+)가 된다.
반대로
pH가 높아 염기성인 상태(H+가 상대적으로 적음)면, 카르복시기는 산성으로 작용하여 H+를 내놓고 -COO(-)가 된다.
아미노산의 특징 2
한 쪽에는 산성을 띠고
한 쪽에는 염기성을 띠어서
여러 개의 아미노산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의 카르복시기와 B의 아미노기가
결합할 수 있는데
이를
아미드(Amid) 결합
혹은
펩타이드(Peptide) 결합
이라고 한다.
아미노산 두 개가 결합하면
다이펩티드 (dipeptide)
3 개면
드라이펩티드 (tripeptide)
약 50개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합은
폴리펩티드(polypeptide)
라고 한다.
연관검색어
화학 Chemistry 기초
'Chemistry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mistry / 주기율표로 보는 원소 / Naver TV / 주기율표와 원소, 150년의 이야기 (0) | 2020.03.08 |
---|---|
Chemistry / 아미노기 / Amino- (0) | 2020.02.28 |
Chemistry / 카복시기 / carboxyl group / COOH (0) | 2020.02.28 |
Chemistry / 산-염기 개념 정의 / Acid-Base (0) | 2020.02.28 |
화학 / 등전점 (0) | 2017.08.17 |
화학 / amu (0) | 2017.04.21 |
과학 / 유리, 초자 (0) | 2017.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