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TA 개요 약어 EDTA는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의 약어이다. 구조 EDTA는 육양성자 계이며, H₆Y²+로 나타낸다. 사용처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킬레이트배위자이다. 대부분의 금속 이온과 강한 1:1 착물을 형성하여, 금속 이온을 적정(titration; 정량분석에서 부피분석을 위해 실시하는 화학분석법)할 때 사용된다. 산업 공정이나 비누, 세제 등 금속-결합제 혹은 식품첨가제로도 사용된다. 금속 이온 지시약 금속 이온 지시약(metal ion indicator)은 금속 이온과 결합할 때, 색이 변하는 화합물이다. 지시약으로 사용되는 조건은, 금속 이온과의 결합은 EDTA-금속이온 결합보다 약한 결합이어야 한다. ED..

기기 분석 / INDEX A. 원자 분광법 A. 원자 분광법 - 6. 분광 분석법 B. 분자 분광학 C. 전기분석 화학 D. 분리법 2020-01 6. 분광분석법 13. 자외선과 가시선 흡수분광법 - 서론 14. 자외선과 가시선 흡수분광법 - 원리 14. 자외선과 가시선 흡수분광법 - 응용 16. 적외선 분광법 - 서론 26. 크로마토그래피의 역사와 분류, 원리와 종류 26. 크로마토그램의 원리와 상수, 변수 / 컬럼의 효율 27.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특징과 원리, 종류 28.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특징과 원리, 종류

야코뷔스 헨리퀴스 반트 호프(Jacobus Henricus van 't Hoff)의 법칙이다. 비전해질의 묽은 용액의 삼투압(P)은 용매와 용질의 종류와 관계없이 용액의 몰 농도와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 수용액 상태에서의 삼투압과 부피의 곱은 몰수와 기체 상수 및 켈빈 온도와 상관 관계를 표시하는 법칙이다. 온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진할수록 삼투압이 높아 액면의 차이가 더 크게 벌어진다. google 반트 호프의 법칙 naver 반트 호프의 법칙

Chemistry / 라울의 법칙 / Raoult's law 프랑스아마리 라울(François-Marie Raoult)의 법칙이다. 한 용매에 비휘발성 물질을 첨가하면 항상 증기압을 낮추는데, 증기압을 낮추는 정도는 용질의 농도에 비례한다. 용액 위 용매 증기에 의해 나타난 부분압 P(A)은 용액 중 용매 몰 분율 X(A)를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 P(A)^0로 곱한 값과 같다. 라울의 법칙은 용액 중 비휘발성 용질 입자 몰 분율 증가 시 용액 위 증기압이 감소하고, 이 감소 정도는 용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용질 입자의 전체 농도에 따른다. google 라울의 법칙 naver 라울의 법칙

Chemistry / 헨리의 법칙 / Henry's law 윌리엄 헨리(William Henry)의 법칙이다. 기체의 압력이 높아질수록 기체가 많이 녹아 질량은 늘어나지만, 부피는 늘어나지 않는다. 용해된 기체의 농도(C)는 액체 위의 기체 압력에 비례한다. 비례 상수 K의 값은 C와 P(gas)의 단위에 따라 결정된다. 적용되는 기체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음 CH4, CO2, H2, O2, N2 등 적용되지 않는 기체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큼 HF, HCl, NH3, N2S 등 google 헨리의 법칙 naver 헨리의 법칙
강산 Strong Acid HClO₄ 과염소산 H₂SO₄ 황산 HBr 브로민화 수소산 HCl 염산 또는 염화 수소산 HNO₃ 질산 약산 Weak Acid H₃PO₄ 인산 HF 플로오린화 수소산 HNO₂ 아질산 CH₃CO₂H 아세트산 강염기 Strong Base KOH 수산화 포타슘 NaOH 수산화 소듐 Ba(OH)₂ 수산화 바륨 Ca(OH)₂ 수산화 칼슘 약염기 Weak Base NH₃ 암모니아
Chemistry / H+와 H3O+에 대하여 반응식에서 사용하기에는 H+가 편하지만, H+(aq)는 수용액의 이온 구조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는다. H+는 전자를 가지지 않는 수소 핵의 양성자로, 반응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H+는 물 분자의 산소 원자와 결합하여 하이드로늄 이온(Hydronium, H₃O+)이 된다. 편의상 혹은 반응식의 균형을 맞출 때 H+(aq)라고 쓰지만, 산 수용액을 나타낼 경우에는 H₃O+를 쓰는 것이 표현하기 좋다. HCl HCl(g) + H₂O(l) → H₃O+(aq) + Cl-(aq)
SN2와 SN1 SN2 SN2는 σ*를 공격한다는 것이 키워드이다. σ*를 공격한다는 것은 σ가 유지되고 있는데 공격할 정도로 반응성이 좋다는 것이다. 또한, 결합의 반대 방향에서 치고 들어오므로 단일 단계로 입체가 항상 반전된다. SN1 SN1은 라세미화 되면 1:1로 생성된다. 탄소 양이온+를 공격한다는 것이 키워드이다. 탄소 양이온이 되기 위해 이탈기가 혼자서 떨어져 나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 단계로 반응이 일어난 것이며, 탄소 양이온이 되었다는 것은 평면 구조이므로 라세미 화합물이 1:1로 생성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한 뒤, 세세한 특징들을 기억한다. 유기 화학 /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 시약에 따른 분류#친핵성-반응-nucleophilicity 유기 화학 ..
SN1 /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성 반응은 음전하나 전자쌍을 가져서(전자를 제공하는) 일어나는 것이다. 유기 화학 /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 시약에 따른 분류#친핵성-반응-nucleophilicity 명명 SN1 / un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 단분자성 친핵성 치환 반응 Nu로 적는다. 즉, 한 개의 분자가 관여하는 친핵성 치환 반응이다. 이탈기가 먼저 떨어져 탄소양이온이 생성된 후에 친핵체가 결합하는 특징이 있어, 다 단계 반응이다. (중간체가 있다) SN1은 친핵체가 반응을 주도하는 반응은 아니라고 볼 수도 있다. 친핵체보다는 할로젠의 전자끄는 힘이 반응을 주도한다고 볼 수 있다. 반응 속도식 v=k[RX] - 1차 속도식 친핵체의 농도는 모두 속..
SN2 /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성 반응은 음전하나 전자쌍을 가져서(전자를 제공하는) 일어나는 것이다. 유기 화학 /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 시약에 따른 분류#친핵성-반응-nucleophilicity 명명 SN2 / b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 이분자성 친핵성 치환 반응 Nu로 적는다. 즉, 두 개의 분자가 관여하는 친핵성 치환 반응이다. 이탈기와 친핵체가 동시에 바뀌는 특징이 있어, 단일 단계 반응이다. 하나의 활성 에너지만 나타나며 전이 상태만 거치면 바로 생성물이 된다. 반응 속도식 v=k[RX][Nu] - 2차 속도식 친핵체와 반응물의 농도가 모두 속도에 영향을 준다. 친핵체와 반응물의 농도를 각각 2배로 넣으면, 속도는 4배가 된다. 특징 sp..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친전자성과 친핵성. 많이 들어본 말이지만 헷갈려서 다시 정리한다. 친전자성 반응 electrophilicity 친전자성: 전자와 친한, 전자를 좋아한다 전자를 좋아하므로 전자쌍 받개(전자를 빼앗음)를 시약으로 사용한다. Lewis 산 을 시약으로 사용한다. 즉, 반응을 주도하는 물질이 친전자체일때 친전자성 반응이며, 반응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자를 빼앗는 물질이 주도한다. 전자를 뺏기는 상황이 벌어지므로 주로 양이온성 중간 물질(+)들이 생성된다.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은 분자 내의 가장 전자밀도 높은 곳이다. 반결합성 orbital에서 반응이 일어난다. 결합성 orbital은 두 핵의 인력을 최대로 받는 부분이므로 전자를 뺏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반결합성 orbi..

실험 / Experiment / INDEX 유기 실험 / INDEX 유기 실험 / 카페인 추출 유기 실험 / 아스피린의 재결정과 녹는점 측정 유기 실험 / 소주 증류 유기 실험 /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물리 실험 / INDEX 물리 실험 / 최소 제곱법 / 최소자승법 물리 실험 / 수은 온도계 보정 / 수은 온도계 검정 물리 실험 / 수소의 몰부피 물리 실험 / 용해열 물리 실험 / 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분자량 결정 물리 실험 / 용액의 삼투압 물리 실험 / 액체-액체 상평형 물리 실험 / 부분 혼화 액체의 용해도 물리 실험 / 평형 분배의 법칙 물리 실험 / 액체의 점성도 무기 실험 / INDEX 무기 실험 / 전이 금속 배위 화합물 무기 실..
[Chemistry/Organic] - 유기 화학 / INDEX 0. 질량 분석이란? 1. 토막내기 유형 2. 여러가지의 질량 분석법 3. 전자기 복사 0. 질량 분석이란? 질량 분석법 질량 분석법은 유기 분자의 분자식과 분자량을 알아내기 위한 방법이다. 일반적인 특징 보통의 질량 분석기(mass spectrometer)는 분자들을 증기 상태로 바꾸고, 높은 에너지(6400KJ)의 전자와 충돌하여 이온화 시킨다. (보통의 시그마 결합을 깨는 데에 약 400KJ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M ─[e-]→ M+· ─→ radical + cations(양이온) * e- : 고에너지 전자 살(빔) * M+· : 분자 이온 혹은 어미 이온 (molecular ion or parent ion) 특징 1 질량 스펙트럼에..

Organic Chemistry / 유기 화학 시약 정리 2020/05/26 - [Chemistry/Organic] - 유기 화학 / 유기 금속 시약 2020/05/27 - [Chemistry/Organic] - 시약, 용매 정리 2020/05/28 - [Chemistry/Organic] - 시약의 종류 카보닐기 2020/06/19 - [Chemistry/Organic] - Group / 아실기 / acyl group 2020/06/19 - [Chemistry/Organic] - Group / 카보닐기 / Carbonyl Group 카복실산 2020/04/15 - [Chemistry/Organic] - 0. 카복실산의 구조 (Carboxylic Acid / 카복실산) 2020/04/15 - [Che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