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2와 SN1 SN2 SN2는 σ*를 공격한다는 것이 키워드이다. σ*를 공격한다는 것은 σ가 유지되고 있는데 공격할 정도로 반응성이 좋다는 것이다. 또한, 결합의 반대 방향에서 치고 들어오므로 단일 단계로 입체가 항상 반전된다. SN1 SN1은 라세미화 되면 1:1로 생성된다. 탄소 양이온+를 공격한다는 것이 키워드이다. 탄소 양이온이 되기 위해 이탈기가 혼자서 떨어져 나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 단계로 반응이 일어난 것이며, 탄소 양이온이 되었다는 것은 평면 구조이므로 라세미 화합물이 1:1로 생성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한 뒤, 세세한 특징들을 기억한다. 유기 화학 /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 시약에 따른 분류#친핵성-반응-nucleophilicity 유기 화학 ..
SN1 /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성 반응은 음전하나 전자쌍을 가져서(전자를 제공하는) 일어나는 것이다. 유기 화학 /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 시약에 따른 분류#친핵성-반응-nucleophilicity 명명 SN1 / un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 단분자성 친핵성 치환 반응 Nu로 적는다. 즉, 한 개의 분자가 관여하는 친핵성 치환 반응이다. 이탈기가 먼저 떨어져 탄소양이온이 생성된 후에 친핵체가 결합하는 특징이 있어, 다 단계 반응이다. (중간체가 있다) SN1은 친핵체가 반응을 주도하는 반응은 아니라고 볼 수도 있다. 친핵체보다는 할로젠의 전자끄는 힘이 반응을 주도한다고 볼 수 있다. 반응 속도식 v=k[RX] - 1차 속도식 친핵체의 농도는 모두 속..
SN2 /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성 반응은 음전하나 전자쌍을 가져서(전자를 제공하는) 일어나는 것이다. 유기 화학 /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 시약에 따른 분류#친핵성-반응-nucleophilicity 명명 SN2 / b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 이분자성 친핵성 치환 반응 Nu로 적는다. 즉, 두 개의 분자가 관여하는 친핵성 치환 반응이다. 이탈기와 친핵체가 동시에 바뀌는 특징이 있어, 단일 단계 반응이다. 하나의 활성 에너지만 나타나며 전이 상태만 거치면 바로 생성물이 된다. 반응 속도식 v=k[RX][Nu] - 2차 속도식 친핵체와 반응물의 농도가 모두 속도에 영향을 준다. 친핵체와 반응물의 농도를 각각 2배로 넣으면, 속도는 4배가 된다. 특징 sp..

친전자성 반응과 친핵성 반응 친전자성과 친핵성. 많이 들어본 말이지만 헷갈려서 다시 정리한다. 친전자성 반응 electrophilicity 친전자성: 전자와 친한, 전자를 좋아한다 전자를 좋아하므로 전자쌍 받개(전자를 빼앗음)를 시약으로 사용한다. Lewis 산 을 시약으로 사용한다. 즉, 반응을 주도하는 물질이 친전자체일때 친전자성 반응이며, 반응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자를 빼앗는 물질이 주도한다. 전자를 뺏기는 상황이 벌어지므로 주로 양이온성 중간 물질(+)들이 생성된다.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은 분자 내의 가장 전자밀도 높은 곳이다. 반결합성 orbital에서 반응이 일어난다. 결합성 orbital은 두 핵의 인력을 최대로 받는 부분이므로 전자를 뺏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반결합성 orbi..

Organic Chemistry / 유기 화학 시약 정리 2020/05/26 - [Chemistry/Organic] - 유기 화학 / 유기 금속 시약 2020/05/27 - [Chemistry/Organic] - 시약, 용매 정리 2020/05/28 - [Chemistry/Organic] - 시약의 종류 카보닐기 2020/06/19 - [Chemistry/Organic] - Group / 아실기 / acyl group 2020/06/19 - [Chemistry/Organic] - Group / 카보닐기 / Carbonyl Group 카복실산 2020/04/15 - [Chemistry/Organic] - 0. 카복실산의 구조 (Carboxylic Acid / 카복실산) 2020/04/15 - [Chemis..

0. 반응 표 (Rxn Table) 1. gem-diol / 금속수소화물시약 / 유기금속시약 / cyano 2. alcohol / amine(0,1,2) / ylide 0. 반응 표 (Rxn Table) #Index 1. gem-diol / 금속수소화물시약 / 유기금속시약 / cyano gem-diol (geminal-diol) 0. (초기 물질에 따라 반응이 다름) 1. 산 (H+) 혹은 염기 (OH-)로 인해 C=O에 영향을 줌 2. 영향을 받은 카보닐에 물 (H2O)이 작용 (gem-diol) 금속 수소화물 시약 (NaBH4, LiAlH4) 1. 환원제로부터 R'-의 친핵성 첨가 2. 음이온이 된 카보닐의 O에 H+ 첨가 유기 금속 시약 (R''MgX, R''Li) 1. 환원제로부터 R'-의 친핵성..

유기 화학 / INDEX [Chemistry/Organic] - 유기 화학 / INDEX 0. 알데하이드의 IUPAC 명명법 1. 알데하이드의 관용명 2. 케톤의 IUPAC 명명법 3. 케톤의 관용명 4. 추가적인 명명법 0. 알데하이드의 IUPAC 명명법 사슬 결합 (CHO가 탄소 사슬의 끝에 결합) 제일 긴 사슬의 알케인 -e (-에)를 -al (-알)로 바꾼다. 고리 결합 (CHO가 탄소 고리에 결합) 고리 이름에 접미사 -carbaldehyde (-카브알데하이드)를 붙인다. * CHO기의 탄소부터 1, 2, 3 ... 번 탄소이다. 1번은 보통 생략한다. #Index 1. 알데하이드의 관용명 -aldehyde (-알데하이드) 접미사를 붙인다. formaldehyde (폼알데하이드) acetalde..

유기 금속 시약에 대해 알아보자 유기금속시약의 뜻과 종류 유기금속 시약(organometallic reagent)은 금속에 결합된 탄소를 가지는 시약이다. 리튬, 마그네슘, 구리가 유기금속 시약에서 많이 쓰이는 금속이며, 이외에도 Sn, Si, Tl, Al, Ti, Hg 등이 있다. R - M 유기금속 시약은 R-M으로 표기한다. M은 금속이며, R은 알킬, 아릴, 알릴, 벤질, sp2 혼성 그리고 M이 Li이거나 Mg일 때 sp 혼성화될 수 있다. 유기금속 시약은 Alkyl Lithium (유기리튬 시약), Grignard 시약 (유기마그네슘 시약), Gilman 시약 (유기구리 시약)이 많이 사용된다. Alkyl Lithium (유기 리튬 시약) 제법 R-X + 2Li ─→ R-Li + LiX 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