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열기

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 INDEX


0. SSH란?
1. SSH로 접속해보자
2. su 비밀번호 설정

 

0. SSH란?

간단하게 말하면, 보안 채널을 만들어서 정보의 교환을 할 수 있는 프로토콜의 한 종류라는데, 전공자도 아니고... 세세하게는 잘 모르겠다.

 

많이 쓰이는 SSH 클라이언트는

 PuTTY

  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XShell

  www.netsarang.com/en/

등이 있는데 XShell을 사용하기로 한다.

#Index

 

1. SSH로 접속해보자

안드로이드 서버는 시작을 눌러 실행되고 있는 상태여야 한다.

 

새로운 세션을 만든다. 호스트는 어플 상단 위를 참고하여 입력한다.

계속 작업할거니까 수락 및 저장을 누른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는 Linux Deploy의 설정을 참고한다.

사용자 이름의 기본값은 android, 비밀번호는 랜덤 생성이다.

각자 입력하고 역시나 이름과 비밀번호를 기억하게 한다.

 

접속 성공

 

 

[Server/Linux] - [Ubuntu] SSH로 원격 접속 / 포트 변경 / 설치부터 방화벽 설정

 

 

위의 WARNING! 경고가 신경 쓰이면,

xshell 등록 정보 (Alt + P)

등록 정보 - 연결 - SSH - 터널링 에서 X11 포워딩을 체크 해제하면 된다.

 

 

sudo su 명령어가 먹히지 않고

PERM_ROOT: setresuid(0, -1, -1):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난다면,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Sudo su / Permission denied 오류 해결

을 참고한다.

 

#Index

 

2. su 비밀번호 설정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passwd root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vi /etc/ssh/sshd_config

의PermitRootLogin값을 yes로 바꾸고 저장한다.

 

 

아무튼! SSH 설치와 접속은 이게 끝이다. 다음은 APT 패키지 설치 프로그램 준비이다.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APT로 웹 서버 구성요소 설치 준비하기!

#Index

728x90
반응형
댓글
글 보관함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