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열기

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erver/Linux] - Linux / INDEX


0. DNS?
1. Duck DNS
2. 리눅스에 적용해보자

0. DNS?

서버의 공인 IP(1.234.56.789)를 외우고 다닐 수는 없다.

 

고정이 되어도 숫자 조합은 외우기 힘들 뿐더러, 고정도 안되고 유동적으로 바뀌니 다른 방법을 통해 서버에 접근해야 한다.

 

Duck DNS를 통해 도메인 (exmple.duckdns.org)을 받고 공인 IP가 바뀔 때 마다 알아서 업데이트는 것이 목적이다.

#Index

1. Duck DNS

www.duckdns.org/

 

Duck DNS

Duck DNS free dynamic DNS hosted on AWS support us: become a Patreon new: moved forum to Google Groups

www.duckdns.org

해당 사이트는 이미 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DNS 호스팅이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주 귀여운 오리가 반겨줄 것이다.

 

각자 원하는 도메인을 받고, 서버에 적용시켜 보자.

 

#Index

2. 리눅스에 적용해보자

사실 적용 방법이 너무 쉽고, 여러 Install 방법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포스팅에 사용되는 자원이 아까울 정도이다.

 

해당 명령어로 cron의 실행여부를 알 수 있다. 

ps -ef | grep cr [o] n

 

또한 curl 명령어를 통해 업데이트 하므로 만약 없다면 설치하자

// 없다면
sudo apt install curl


curl

 

/root에 폴더를 만들고 sh 파일을 생성한다.

cd /root
mkdir duckdns
cd duckdns
vi duck.sh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도메인과 토큰을 입력하고 파일에 기록한 뒤, 저장한다.

echo url = "https://www.duckdns.org/update?domains=[도메인]
&token=[토큰-홈페이지에서 제공]&ip="| curl -k -o ~ / duckdns / duck.log -K-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을 준다.

chmod 700 duck.sh

 

서버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cron 프로세서를 이용한다.

crontab -e

 

5분에 한 번씩 IP가 업데이트 될 것이다.

* / 5 * * * * ~ / duckdns / duck.sh> / dev / null 2> & 1

 

해당 구문을 실행하여 사이트에 올바르게 업데이트되는지 확인한다.

./duck.sh

 

성공 여부가 해당 파일에 기록된다.

 

OK인 경우 업데이트 성공,

KO인 경우 토큰이나 도메인이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cat duck.log

 

#Index

728x90
반응형
댓글
글 보관함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