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Linux] - Linux / INDEX 0. Freenom의 DDNS 지원 1. GitHub / freenom-script 0. Freenom의 DDNS 지원 .tk 도메인으로 도박사이트를 너무 많이 만들었다나.. 하여튼 DDNS를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IP가 바뀔 때 마다 업데이트해줄 수도 없고 도메인을 구매하기에는 아직 고려중이라 찾아보게 되었다. #Index 1. GitHub / freenom-script github.com/mkorthof/freenom-script mkorthof/freenom-script Domain Renewal and Dynamic DNS script for freenom.com (in Bash) - mkorthof/freenom-script github..
[Server/Linux] - Linux / INDEX 0. DNS? 1. Duck DNS 2. 리눅스에 적용해보자 0. DNS? 서버의 공인 IP(1.234.56.789)를 외우고 다닐 수는 없다. 고정이 되어도 숫자 조합은 외우기 힘들 뿐더러, 고정도 안되고 유동적으로 바뀌니 다른 방법을 통해 서버에 접근해야 한다. Duck DNS를 통해 도메인 (exmple.duckdns.org)을 받고 공인 IP가 바뀔 때 마다 알아서 업데이트는 것이 목적이다. #Index 1. Duck DNS www.duckdns.org/ Duck DNS Duck DNS free dynamic DNS hosted on AWS support us: become a Patreon new: moved forum to Google G..
Linux Deploy / INDEX 북마크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안드로이드에 리눅스를 설치하여 활용하기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관련 웹사이트 / 포럼 / 위키 / 도움받은 블로그 안 쓰는 스마트폰에 우분투로 웹서버 구축하기!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안드로이드에 우분투를 설치해보자!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SSH 클라이언트로 접속해보자!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APT로 웹 서버 구성요소..
// 백업 폴더 생성 mkdir /home/android/mysql // 폴더 권한 755로 chmod 755 /home/android/mysql // 스크립트 파일 생성 vi /home/android/mysql/backup_mysql.sh /--------------------------------------------------------------- #!/bin/sh FILE_NAME=backup_`date +"%Y%m%d%H%M%S"` BACKUP_DIR=/android/mysql mysqldump -u[USER] -p[PASSWORD] --databases [DB_NAME] > $BACKUP_DIR$FILE_NAME.sql find $BACKUP_DIR -ctime +14 -exec rm -f ..

0. 자동 스크립트는 왜 필요할까? 1. Linux Deploy 2.x.x 2. Linux Deploy 1.x.x 0. 자동 스크립트는 왜 필요할까? Linux Deploy를 이용하여 웹 서버를 구동하는데, 서버 시작이나 재시작할 때마다 Apache와 MySQL을 일일이 실행하기에는 너무 귀찮으니 자동 스크립트 기능을 사용해보자. 에디터는 vi를 사용했으므로 각자 사용하는 에디터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startScript라는 부분은 원하는 이름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Linux Deploy는 버전 1.x.x와 2.x.x가 조금 다르니 원하는 버전의 방법을 보면 된다. #Index 1. Linux Deploy 2.x.x /etc/rc.local 경로에 startScript 파일을 만듭니다. cd /etc..
리버스프록시와 포워드 프록시 차이 lng1982.tistory.com/288 Apache로 리버스 프록시 구성하다가 permission Denied 뜨고 며칠 동안 해결도 못하고 구글에는 Selinux 답변만 많아서 nginx를 사용했더니 바로 된다.... 더 빨리 시도해볼 걸 하면서도 이제라도 되어서 다행.. 하여튼 리버스 프록시 작동 확인 -> ssl(https) 적용 확인 순으로 진행한다. 리버스 프록시 작동 확인 unlink /etc/nginx/sites-enabled/default // Default Virtual host 해제 vi /etc/nginx/sites-available/reverse-proxy.conf /--------------------------------------------..
Linux / 서버 전체 백업하기 / 복원하기 전체 백업을 할 수도 있겠지만, /proc, /mnt, /dev, /sys, /run, /media 폴더는 백업할 필요 없고, /home 또한 백업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exclude로 제외하고 진행한다. tar 명령어 -c : 새 압축 파일 -v : 자세한 정보 표시 -p : 복원 대비하여, 퍼미션 저장 -z : gzip 대중적 확장자는 .tar.gz 또는 .tgz 상대적으로 빠르나, 압축률은 상대적으로 낮음 -j : bzip2 방식, 확장자는 .tar.bz2 또는 .bz2 상대적으로 느리나, 압축률은 상대적으로 높음 -f [파일이름] : 파일이름으로 압축 실행 -x : -f 옵션에 의해 지정된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에다 풀기tar로 백업하기..

리눅스 디플로이를 통해 우분투에 SSH접속을 한 뒤, root 권한을 얻기 위해 sudo su 명령어를 치면 PERM_ROOT: setresuid(0, -1, -1):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뜨며 접근할 수 없는 오류에 대한 글이다. ADB를 사용하여 컴퓨터와 안드로이드 기기를 연결하여 진행한다. 아래의 방법은 github.com/meefik/linuxdeploy/issues/224 와 devman.net/2018/12/05/linux-deploy/ 의 방법을 참고하여 포스팅했고, 일반 계정을 추가하여 root 권한을 줘서 해결했다. ADB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수정하고 로그인하는 방법 (해당 방법은 실패하여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것이다.) [Server/Linux] - [Linu..

[Server/Linux Deploy (Android)] - [Linux Deploy] / INDEX 0. phpMyAdmin 다운로드 1. FTP 접속 2. FTP 계정 추가 3. [오류] Mysqli 확장 기능 설치 안됨 4. DB 계정 추가 5. 6. 7. 0. phpMyAdmin 다운로드 apt로 다운받았다가 안 되던 기억이 있어 직접 설치로 진행한다. www.phpmyadmin.net/ phpMyAdmin Your download should start soon, if not please click here. Please verify the downloaded file Please take additional steps to verify that the file you have downloade..
/etc/netplan/ 경로에 파일이 있을 것이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고정 IP를 설정한다. sudo vi /etc/netplan/ // 파일 기본 값 (01-network-manager-all.yaml) / ----------------------------------------------------- # Let NetworkManaget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stem network: version: 2 renferer: NetworkManager / ----------------------------------------------------- // 인터페이스는 ifconfig로 조회하여 ens32 // 파일 기본 값 / -------------------------..
SSH 설정 // 먼저 ssh 포트를 확인할 상주 프로그램인 데몬을 설치해야 한다. # install openssh-server // 방금 설치한 프로그램 설정 파일을 연다. # vi /etc/ssh/sshd_config // 주석을 해제하거나, 적당한 곳에 입력한다. // -------------------------------------- // 22 혹은 사용자 설정 포트 Port 22 // Root 사용자를 외부에서 로그인할 수 없게 한다. PermitRootLogin no // -------------------------------------- // sshd를 재시작한다. # service sshd reload // sshd 실행 현황을 출력한다. # service sshd status 방화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