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포화 탄화 수소 (Saturated Hydrocarbons) 탄소와 수소로만 구성된 화합물이다.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 등의 불포화 결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사슬형 탄화수소는 CnH(2n+2)로, 고리형 탄화수소는 CnHn로 표기한다. 사슬형이면 n(normal)- 으로 표기하며 n은 생략 가능하다. 탄소 원자가 3개 이상 골격이 고리모양으로도 존재하여 cyclo- 구조가 있다. 탄소 원자가 4개 이상 구조에 다른 가지(치환기)가 없고, 말단에 Y자 모양의 배열이 있으면 이성질체라고 하여 iso(isomer)- 구조가 있다. 탄소 원자가 5개 이상 구조 말단에 +자 모양의 배열이 있으면 neo- 구조가 있다. 연관검색어 더보기 화학 Ch..
*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소 결합 (hydrogen) X - H 전기 음성도가 큰 X원자(F, O, N 등)에 수소 원자(H)가 공유 결합으로 결합하면 전기 음성도가 큰 X원자는 부분적인 음(-)전하를 띠고 수소 원자(H)는 부분적인 양(+)전하를 띤다. 이 수소 원자에 X 원자가 이웃하게 되면 정전기적 인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수소 결합이다. 참고 전기 음성도 공유 결합 연관검색어 더보기 화학 Chemistry 기초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산, 염기 (Acid, Base) 기본적으로 산과 염기는 반대의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Acid(산) 의 반대는 Alkali(알칼리)? 라고 흔히 착각할 수 있다. 그럼 알칼리(Alkali) 는 뭐지? 여기서 의문, 왜 Alkali(알카리)일까? Alkali는 아랍어로 부터 유래되는데 (Arabic: al-qaly) al는 물질, qaly는 재라는 뜻이다. 물질이 타고 남은 재를 물에 넣었더니 잘 녹은 그것을 Alkali라고 하자라고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염기성을 띠게 하되, 물이라는 조건 하에 이므로, 염기라는 큰 개념에 속한 하위 개념인 것이다. 염기(Base) 의 종류 중, A. 물에 대한 용해도는 작지만 (↓), 강염기인 Ca(OH..

*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자(Atom) 모든 원자는 양성자(+전하를 띤다), 중성자(전하를 띠지 않는다), 그리고 전자(-전하를 띤다)로 이루어져 있다. + 양성자와 중성자는 더 작은 입자인 쿼크(quark)로 이루어져 있다. 원자의 질량의 단위는 amu (atomic mass unit)을 사용한다. 1 amu는 12만큼의 질량(양성자+중성자)을 가지는 C(탄소, Carbon)의 1 / 12을 기준으로 정의한다. 원소(element) 양성자의 수에 따라 원자의 종류가 결정된다. 따라서 원자번호는 원소의 기본 성질을 결정하며 Z라는 기호로 나타낸다. 원자의 질량은 원자핵(사진. 양성자와 중성자가 속해있는 검정 동그라미)의 질량과 거의 같다. (전자는 무시할 수 있..
1 ~ 18 Group(족) / 1 ~ 7 Period(주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H He 2 Li Be B C N O F Ne 3 Na Mg Al Si P S Cl Ar 4 K Sr 5 Rb K 6 Cs Ba [7] Fr Ra Act. 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각 원소, 족, 주기를 클릭하면 각 페이지를 새 창으로 표시합니다. 출처: NAVER TV / 주기율표와 원소, 150년의 이야기 1, 2, 13 ~ 18 Group(족) / 1 ~ 4 Period(주기) [1] [2] [13 14 15 16] [17] [18] 1 H He 2 Li Be B C N O F Ne..

*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미노기 (Amino-) 아미노기를 시성식으로 쓰면, R-NH2 이다. 시성식으로만 봤을 때는, ' 어? 끝에 H가 붙어있으니 염기성을 띄어야 되는거 아니야? ' 할 수 있다. 하지만 구조식을 그려보면, N는 H와 강하게 결합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떼어내기가 힘들다. 대신, H+(수소이온)을 받아들이기는 쉽기 때문에 아미노기는 염기를 띤다. 그러므로 아민은 브뢴스테드-로우리 염기이다. 게다가, H+(수소이온)에게 전자쌍까지 준다. 그러므로 아민은 루이스 염기이다. 연관검색어 더보기 화학 Chemistry 기초 아미노기 아민 산 염기 Amino- Amino R-NH2 R-NH3+ H+

*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카복시기 (carboxyl group) -C(=O)-OH, -COOH, -CO2H 카복시기를 시성식으로 쓰면, R-COOH 이다. 시성식으로만 봤을 때는, ' 어? 끝에 OH가 붙어있으니 염기성을 띄어야 되는거 아니야? ' 할 수 있다. 하지만 구조식을 그려보면, 이와 같이 OH가 떨어질 수 없는 구조이고, H+(수소이온)을 내놓기 때문에 산성을 띤다. 카복실산은 아레니우스 산이다. 연관검색어 더보기 화학 Chemistry 기초 카복시기 카르복시기 카르복실산 산 염기 Carboxy- Carboxy R-COOH R-COO- H+
*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하여,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미노산의 구조 아미노산의 특징 1 아미노산의 특징 2 아미노산 (Amino Acid)의 구조 아미노산은 α-아미노 카르복실산(α-amino carboxylic acid)의 약자로 알파 탄소라 불리는 중심 탄소에 염기성 아미노기(-NH2), 산성 카르복실기(-COOH) 및 R기(또는 측쇄) 아미노산 (amino Acid)은 α-아미노 카르복실산(α-amino carboxylic acid)의 약자 이다. 길이가 기니까 줄여 말하는 것이다. 아미노산은 알파 탄소가 중심에 있고, 한 쪽에는 수소, 한 쪽에는 염기를 띠는 아미노기(Amino-)와 한 쪽에는 산성을 띠는 카르복시기(Carboxy-)와 마지막으로 R기(Side Chain)로 이루어져..

Chemistry / 산-염기 개념 정의 / Acid-Base A. 아레니우스의 산 염기 (acids and bases of Arrhenius) 먼저, 스웨덴의 화학자 아레니우스(Svante Arrhenius, 1859~1927)이다. 아레니우스는 산(acid)은 물에서 해리하여 수소 이온(H+)을 생성하는 물질이고, 염기(base)는 물에서 해리하여 수산화 이온(OH-)을 생성하는 물질이라고 제안하였다. 산 HA(aq) → H+(aq) + A-(aq) 염기 MOH(aq) → M+(aq) + OH-(aq) 산은 HCl, HNO3 등이 있고, 염기는 NaOH. KOH 등이 있다. HCl HCl(g) + H₂O(l) → H₃O+(aq) + Cl-(aq)수용액 상에서 H+(수소 이온)을 내놓는 HCl을 아레니..
요약: 양쪽성 전해질이나 콜로이드 입자 등이 가진 전하의 대수합이 0이 될 때의 상태를 용액의 수소이온지수 pH로 나타낸 것이다.아미노산·단백질·핵산 등 양쪽성 전해질에서 분자의 전하는 용매의 pH에 의해서 가장 뚜렷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이들 용액의 전기이동현상에서 용질입자 또는 분자의 이동도는 pH와 관계가 있으며, 적당한 pH에서 이동도가 0이 된다. 이때의 pH를 양쪽성 전해질의 등전점이라고 한다. 단백질 수용액에서는 매질의 pH가 일정한 값보다 작아져서 산성이 되면, 보통 아미노기가 보다 많이 수소이온를 얻어 양이온이 된다. 반대로 pH가 일정한 값보다 커져서 알칼리성이 되면 카복시기가 강하게 이온화하여 음이온이 된다. 이 일정한 값, 즉 중간에 전하가 0이 되는 pH가 존재하는데, 이 pH가 ..
탄소원자 한개의 질량을 12amu로 정의하고 1/12인 1amu는 원자량으로 부터 역추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탄소를 기준으로 다른 원자들의 상대적인 질량을 표현하기 위해서 amu라는 단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amu의 질량을 계산할 때 탄소 원자를 기준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탄소 원자가 안정 동위 원소이기 때문입니다. 탄소-12원자가 지구상에 98.9%를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동위원소(C-13, C-14)가 원자질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이 탄소원자질량을 12로 딱 떨어지게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amu의 질량을 구했습니다. 예전에는 산소원자를 기준으로 사용했지만 동위원소로 인해 원자질량에 오차가 생겨 탄소로 변경 되었습니다. 출처: http://m.kin.naver..
초자(硝子)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융해된 액체를 냉각하면 일정한 온도에서 응고하여 결정(結晶)으로 되지만 어떤 종류의 것은 냉각해도 응고·결정화하지 않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점차 점성(粘性)이 증가하고, 나중에는 굳은 고형물이 된다. 이와 같이 된 비결정 고형물을 일반적으로 유리상태에 있다고 하며, 특히 무기물로서 이와 같은 상태가 된 것을 유리라고 한다. 유리가 될 수 있는 무기물에는 여러 종류의 것이 있는데 셀렌·황 등의 원소, 규소·붕소·게르마늄 등의 산화물이나 산화물염류·황화물·셀렌화물·할로겐화물 등이다. 종래에는 규산을 주체로 한 규산염유리가 대표적이었지만 현재는 붕산염유리·인산염유리 등의 산화물 유리가 실용화되었으며, 황화물·셀렌화물 등의 유리도 특수한 목적을 위해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pH Meter pH Meter란? pH 미터 혹은 pH 미터기로 부른다. 사전적 의미로는 유리 전극과 비교 전극의 전위차를 비교하여 pH를 구하는 기구이고, 간단하게는 그냥 pH를 알려주는 편리한 도구이다. pH Meter의 보관 pH 전극의 센서 부분은 항상 젖은 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공기 중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보관하면 유리 전극의 멤브레인이 막혀 전극을 쓰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증류수나 초준수등 물에 절대 보관하지 않는다. 유리 전극의 멤브레인을 통해 기준 전해액이 유출되어 전극의 노화가 촉진되고 응답속도가 늦어진다. 또한 1주일에 한 번은 용액을 교체해야 한다. 장기간 관리하지 못하면 pH 결과값이 유지되기 못하고 왔다갔다 튀는 현상이 발생하여 결국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권장되는 보관 용액..